본문 바로가기

호흡 명상

명상과 기 수련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상식 6편 : 정기신

728x90

한국의 정기신(精氣神) 사상은 음양오행 사상과 함께 한국의 전통 종교 및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할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오늘은 동아시아 수행문화의 뿌리라고도 할 수 있는 정기신 사상에 대해 가볍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의 정기신 사상에서 "정(精)," "기(氣)," "신(神)"은 각각 다음과 같은 의미와 작동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精)

정(精)은 생명의 정수로서, “생명의 핵심”이라고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정(精)의 사전적 의미는 “정미한 쌀 알갱이” 혹은 동양 철학 일반에서 ‘가장 정미한 것’이라는 뜻이며, 그것을 현대어로 풀이하자면 “생명의 에센스” 정도로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노자(老子)에서는 정(精)이 도(道)를 지칭하기도 하였으나, 이후 관자(管子)에 이르러서는 기(氣)를 가리키는 것으로 변화하였습니다. 이때까지는 정과 기를 정기(精氣)라는 하나의 개념으로 사용되다가 회남자(淮南子)에 이르러서는 각각의 개념이 분화되어 정(精)·기(氣)·신(神) 또는 형(形)·기(氣)·신(神)의 삼분법적 체계로 현대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기(氣)

기는 "기운" 또는 "에너지"를 나타냅니다.

 

동양사상에서는 기(氣)를 천지만물의 기본적 질료로 보고 있습니다. 기(氣)가 정(精)과 결합하여 정기(精氣)로 사용될 경우 형태가 없는 생명의 원천이며, 형(形)과 결합하여 형기(形氣)로 사용될 경우 형태와 물성을 가진 물질로 변하는 유형과 무형의 성질을 동시에 지닌 특수성으로 인해 정기신 이론 내에서 기(氣)는 정(精)과 신(神)을 이어주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습니다.

 

 

신(神)

신(神)은 “의도를 가진 독립적인 의식작용”으로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신(神)은 인간의 정신활동 또는 이를 관장하는 주재(主宰)의 의미를 지니며, 인체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 수반되는 일체의 정신적 활동을 포괄하는 용어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생명의 기초인 정(精)이 기(氣)의 매개 작용을 통해 인체의 생명활동을 주관하는 신(神)으로 전환되는 일련의 과정이 인간의 생명 활동의 본질인 것입니다.

 

 

정기신의 작용

 

정과 기는 서로를 길러 줍니다. 운동을 열심히 해서 몸이 좋아지면 정력도 세진다고 비유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정기의 상호 상승 작용에 따라서 왕성하게 발휘되는 것이 바로 신(神)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정기(精氣)가 충만한 사람은 신(神)의 기능도 왕성하지만, 반대로 정기가 부족한 사람은 신의 작용이 왕성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과도한 정신활동으로 인하여 신(神)이 손상되면 정과 기에도 영향을 미쳐 형체마저 쇠약해집니다. 이처럼 정·기·신은 서로 기르며 협동하는 것으로, 음식물을 섭취하여 그 정미(精微)한 것이 정이 되고, 정이 다시 기로 화(化)하고, 이것이 왕성해 지면 신(神) 커지게 되는 것입니다.

 

동양에서는 정기신 사상을 통해 생명을 이해하였습니다.

 

고대의 원형적 정기신 학설은 추상적이고 무형적인 철학 이론이었으나 고대 중국의 진한시기에 스여진 황제내경 이후 구체적이고 실재적인 개념으로 전환되며 도교의 내단학, 동양의학 등의 철학적 기초로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도교 내단학 및 동양의학에서는 정기신을 인간 생명을 이루는 세 가지 보배[三寶]라고 하여, 생명 유지를 위해 필수적으로 유지하고 보양하여야 할 대상으로 여겼으며, 자연스럽게 이를 올바르게 기르고 가꾸기 위한 다양한 수련 방법이 새롭게 등장하며 풍부한 이론 체계를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정기신(精氣神) 수양론

 

도교 내단학에서는 정(精)을 기(氣)로, 기(氣)를 다시 신(神)으로 변화시켜 궁극적으로는 도(道)와 합치시키는 것을 추구하였습니다. 한편 동양의학에서는 보정(補精), 익기(益氣), 조신(調神)이라는 삼대 원칙을 제시하였습니다. 그것은 수련을 통해 정을 보충하고, 기를 증대시키며, 신을 조절할 수 있을 때 신체가 이상적인 조화상태를 이룰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한국에서는 정기신 이 세 가지를 통합하여 개인의 정신과 에너지가 우주의 에너지와 연결되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고 믿는 철학적 사고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정기신의 수련 방법

 

명상

명상의 목적은 마음과 정신을 집중시키고 평정심을 유지하여, 정신적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명상을 통해 신(神)이 조화와 균형을 찾게 되면, 자연스럽게 정기를 조절하고 향상시키게 됩니다.

 

기(氣) 수련

기 수련은 에너지 흐름을 개선하고 몸의 기능을 최적화하는 기법을 통해 체력을 향상시켜 정기(精氣)의 흐름을 개선합니다.

 

오늘은 한국의 수행문화의 뿌리라고도 할 수 있는 정기신 사상에 대해 가볍게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